728x90
반응형
SMALL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먹는일기

머슬팜 컴뱃 100% 웨이 프로틴 초콜렛(단백질 보충제)

2020년 되면서 새해 다짐으로 건강하게 살기라고 개인프로젝트를 진행중에 있습니다 현재 프로젝트는 실패할 확률이 크네요ㅠㅠ 프로젝트는 운동과 식단 위주로 계획을 세웠습니다 이 포스팅은 식단에 관련된 단백질 보충제에 대해 써보겠습니다. 제가 구매한건 제목에서 봤듯이 머슬팜 컴뱃 100% 초콜렛입니다 찾아보니 마이프로틴, 신타6, 컴뱃, 옵티멈등이 자주 보였는데 그중에서 컴뱃을 선택했습니다! 한스쿱에 단백질 25g을 제공해준다고 하는군요 하루권장량의 반이라고 수치상 표기됐네요 전 건강 프로젝트라서 몸무게에 비례해서 1kg당 단백질 1g를 목표로 섭취했으나 실패했습니다 힘들더라고요 ㅜㅠ 이제 한번 맛을 보겠습니다 츄릅 우유랑 전 섞어먹었습니다 우유는 약 270ml정도 입니다 너무 맛있어서 흔들자마자 먹어버려서..

2020.10.24 게시됨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개발일기/Vue.js

Vue.Js 3 Composition API 살펴보기 - 2(Methods, Computed, The Reactive Syntax)

Vue3 Composition API에 대해 알아보자 - 2 Vue3가 나오면서 Composition API가 제공되고 있다. Composition API가 왜 나왔는지 알아보고 뭔지 알아보자. 개요 Methods Computed Properties The Reactive Syntax Methods 메서드는 Vue 인스턴스에서 사용된다.(함수라고 생각하면 된다.) 아래 코드에서 capacity를 1씩 증가시키는 메서드를 만들어보자. Capacity: {{ capacity }} vue2에서 메서드 사용은 아래 코드와 같다.(data()사용했을시) methods: { increase_capacity() { this.capacity++; } } vue3에서는 setup 메서드 안에서 만든 다음 return 내..

2020.10.23 게시됨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개발일기/Vue.js

Vue.Js 3 Composition API 살펴보기 - 1(setup, reactive,methods, computed)

Vue3 Composition API에 대해 알아보자 Vue3가 나오면서 Composition API가 제공되고 있다. Composition API가 왜 나왔는지 알아보고 뭔지 알아보자. 개요 Vue2 한계 Setup & Reactive References Methods Computed Properties The Reactive Syntax Vue2 한계 컴포넌트가 커지면 커질수록 가독성이 떨어짐 예를 들면, 검색어를 입력하고 해당 검색어로 찾은 정렬된 결과를 보여주는 컴포넌트를 살펴보자. // Vue2 export default { data() { return { 검색어 로직(Search) 결과 정렬(Sorting) } }, methods: { 검색어 로직(Search) 결과 정렬(Sorting) } ..

2020.10.22 게시됨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개발일기/Web

CDN(Contents Delivery Network) 개념 살펴보기(웹 최적화)

CDNs(Content delivery networks)에 대해 알아보자 AWS CloudFront를 사용중인데 CDN, 캐쉬 관련해서 대략적인 개념만 알고 있는 상태다. 웹 최적화를 검색하는 도중 CDN관련 내용이 있어 간단하게 정리하겠다. web.dev 여기 포스팅을 참고 했다. 개요 CDN은 분산된 서버 네트워크를 사용해 사용자들에게 리소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이트 성능을 향상시킨다. CDN은 서버 부하(서버 로드)를 줄이기 때문에, 서버 비용을 절감하고, 트래픽 급증(traffic spkies) 처리에 적합하다. 이 포스팅은 CDN이 작동하는 법, CDN 설정 최적화, 플랫폼을 고르는법과 설정하는 법을 알려준다. CDN은 캐시 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걸로 잘 알려져 있지만, 캐쉬 할수 없는 컨텐츠를 제..

2020.10.21 게시됨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개발일기/알고리즘

알고리즘 빅 오 표기법 살펴보기

알고리즘 빅 오 표기법 살펴보기 개요 알고리즘을 문제 은행에서 푼 기억은 있어도 알고리즘에 대해 공부한 적이 없어서 이 참에 공부하면서 정리하기로 마음 먹었습니다. 어려운 내용은 제가 이해를 못하니 간단하게 한번 살펴 보겠습니다. 처음으로 살펴볼 내용은 빅 오 표기법입니다. 빅 오 표기법이란 시간 복잡도(알고리즘의 시간 효율성)를 쉽게 소통할 목적으로 자료 구조와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간결하고 일관된 언어로 설명하기 위해 수학적 개념을 차용했습니다. 이러한 개념을 형식화한 표현을 빅 오 표기법이라고 부릅니다. 지금 설명은 수학적 관점을 최대한 배제하고 있습니다.(아주 쉬운 버전) 빅 오: 단계 수 계산 O(1) "빅 오1", "차수 1"이라고 부르며, 오 1이라고 편히 부르겠습니다. O(1)은 데이터 크기..

2020.09.22 게시됨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