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CDN(Contents Delivery Network) 개념 살펴보기(웹 최적화)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개발일기/Web

CDN(Contents Delivery Network) 개념 살펴보기(웹 최적화)

CDNs(Content delivery networks)에 대해 알아보자 AWS CloudFront를 사용중인데 CDN, 캐쉬 관련해서 대략적인 개념만 알고 있는 상태다. 웹 최적화를 검색하는 도중 CDN관련 내용이 있어 간단하게 정리하겠다. web.dev 여기 포스팅을 참고 했다. 개요 CDN은 분산된 서버 네트워크를 사용해 사용자들에게 리소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이트 성능을 향상시킨다. CDN은 서버 부하(서버 로드)를 줄이기 때문에, 서버 비용을 절감하고, 트래픽 급증(traffic spkies) 처리에 적합하다. 이 포스팅은 CDN이 작동하는 법, CDN 설정 최적화, 플랫폼을 고르는법과 설정하는 법을 알려준다. CDN은 캐시 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걸로 잘 알려져 있지만, 캐쉬 할수 없는 컨텐츠를 제..

2020.10.21 게시됨

알고리즘 빅 오 표기법 살펴보기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개발일기/알고리즘

알고리즘 빅 오 표기법 살펴보기

알고리즘 빅 오 표기법 살펴보기 개요 알고리즘을 문제 은행에서 푼 기억은 있어도 알고리즘에 대해 공부한 적이 없어서 이 참에 공부하면서 정리하기로 마음 먹었습니다. 어려운 내용은 제가 이해를 못하니 간단하게 한번 살펴 보겠습니다. 처음으로 살펴볼 내용은 빅 오 표기법입니다. 빅 오 표기법이란 시간 복잡도(알고리즘의 시간 효율성)를 쉽게 소통할 목적으로 자료 구조와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간결하고 일관된 언어로 설명하기 위해 수학적 개념을 차용했습니다. 이러한 개념을 형식화한 표현을 빅 오 표기법이라고 부릅니다. 지금 설명은 수학적 관점을 최대한 배제하고 있습니다.(아주 쉬운 버전) 빅 오: 단계 수 계산 O(1) "빅 오1", "차수 1"이라고 부르며, 오 1이라고 편히 부르겠습니다. O(1)은 데이터 크기..

2020.09.22 게시됨

input, image 등에서 ::before 를 사용할 수 없는 이유?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개발일기/CSS

input, image 등에서 ::before 를 사용할 수 없는 이유?

input, image 등에서 ::before 를 사용할 수 없는 이유? 개요 CSS 작업하다보면 ::before, ::after 를 이용해서 처리할때가 있다. 하지만, 어떤 태그에서 작동이 안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걸 한번 알아봅시다. ::before, ::after pseudo-elements(가상 요소)는 텍스트 입력하는 태그들과, 이미지 또는 영상을 보여주는 태그에는 사용할 수가 없다. 그 이유는 repalced elements(대체요소)때문이다, HTML 표준 렌더링 섹션에 특별한 카테고리에 자세한 설명이 있으니 참고하길 바랍니다. ,,,,,,, img,input,embed 는 가상요소가 될수도있고 대체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img 예제 // html // wrong img url // cs..

2020.09.08 게시됨

[Vue.js] 토큰 기반 인증(#3. 사용자 등록)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개발일기/Vue.js

[Vue.js] 토큰 기반 인증(#3. 사용자 등록)

2020/10/31 - [개발일기/Vue.js] - [Vue.js] 토큰 기반 인증 (#7. 자동 로그인) 2020/10/31 - [개발일기/Vue.js] - [Vue.js] 토큰 기반 인증 catch 사용 (#6. 에러 처리) 2020/10/30 - [개발일기/Vue.js] - [Vue.js] 토큰 기반 인증(#5. 유저 로그아웃) 2020/10/28 - [개발일기/Vue.js] - [Vue.js] 토큰 기반 인증(#4. 유저 로그인) 2020/08/30 - [개발일기/Vue.js] - [Vue.js] 토큰 기반 인증(#3. 사용자 등록) 2020/07/27 - [개발일기/Vue.js] - [Vue.js] 토큰 기반 인증(#2. 인증을 위한 프로젝트 구조 살피기) 2020/07/24 - [개발일기/Vu..

2020.08.30 게시됨

로컬에서 서브 도메인 활용하기(local sub domain)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개발일기/Web

로컬에서 서브 도메인 활용하기(local sub domain)

로컬에서 서브 도메인 활용하기 개요 다국어 작업을 서브 도메인을 이용해야 되는데 로컬에서 테스트 하기가 애매해서 구글링 하다 발견한 내용을 정리했다. 이 포스팅은 엄청 간단하게 내가 이해한 내용을 바탕으로 쓸 예정이다. 아래는 이미지 1개정도 넣어야 될 것 같아 URL 구조 이미지를 추가했으니 참고!! 로컬에서 호스트 설정하기 windows 환경 CMD 커맨드 프롬프트를 관리자 권한으로 열고 아래 명령어를 입력한다. notepad c:\Windows\System32\Drivers\etc\hosts mac/Linxus 환경 mac/linxus 사용자는 sudo 권한으로 아래 명령어를 입력한다. sudo nano /etc/hosts 현재 mac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mac 기준으로 설명할 텐데 크게 다른 점은..

2020.08.28 게시됨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