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ue.js] 새로운 v-model 살펴보기#1 (vue3에서 바뀐 점)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yjdum%2FbtqUeiN6LpR%2FAAAAAAAAAAAAAAAAAAAAACE9hluYYkEZ3XXrpNtTDRjBdZh41ZLGgb9IIjk_ljEM%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9244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QA0J3IuJri7hvPDj2Ko0kEALYRU%253D)
개발일기/Vue.js
[Vue.js] 새로운 v-model 살펴보기#1 (vue3에서 바뀐 점)
Vue3가 나오면서 변한 것들이 있는데 그중에서 v-model을 한번 살펴보자. 이번 포스팅에서는 간단하가 vue2에서 v-model과 vue3에서 v-model에 차이점과 기본 형식에 대해 살펴보겠다. 다음 포스티은 v-model를 여러개 쓸 때랑 modifiers에 대해 글을 써보겠다. 새로운 v-model(The new v-model) v-model을 애플리케이션의 상태에 input 입력값을 쉽고 빠르게 얻을 수 있고, 활용이 가능하다. v-model을 사용하여 부모는 입력되는 값을 받을 수 있다. vue3에서 다수의 바인딩을 할 때 더 강력하고 유연하게 설계가 되었다. Navite inputs으로 알아보자(Kicking it off with Native inputs) vue2에서 v-model을 ..